back to main

[1] 양질의 (픽셔널) 바이올런스

시집 인쇄물, 115x190mm

『양질의 (픽셔널) 바이올런스』는 자전적 경험을 픽션의 문법으로 재조합한 실험적 시집이자 진(zine)이다. 수록된 작품은 「buzzcut season」외 9편이다. “존재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 존재하기”를 주장하는 각 작품은 시집 밖의 또 다른 작품으로, 또 다른 매체로 이어진다. (해당 전시에서는 관람자 연령을 반영하여 검열본을 배치한다.)

[2] buzzcut season

[3] i’m your man

시, 인쇄물 스캔, pdf 파일

[4] pump up the wreck, kid!

실험영화, 1440x1080px, 6분 14초

〈pump up the wreck, kid!〉는 『양질의 (픽셔널) 바이올런스』에 수록된 시 〈buzzcut season〉과 〈i’m your man〉 속 가상의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실험영화이다. 〈buzzcut season〉의 주인공 키드(kid)가 다시 등장하여 ‘사회’에서 온 또 다른 주인공과 함께 이후의 이야기를 진행시킨다. ‘사회’와 ‘언더그라운드’로 구분되는 이 세상에서 주인공과 키드는 상호작용을 통해 위계질서의 혼돈을 꿈꾼다.

[5] out of context: pump up the wreck, kid!

웹 게임, Twine, 가변크기

〈out of context: pump up the wreck, kid!〉는 제목 그대로 전반적인 내러티브 흐름에서 빗겨나간 외전 격 시퀀스를 담은 비디오/웹 게임이다. 해당 작품 안에서 키드는 정체성을 횡단하고 기억을 헤매며 자신이 진정으로 꿈꾸는 복수에 대해 곱씹는다.

[6] to the moon and back – 발신 오류 에디션

솔로 TRPG 진, 인쇄물, 210×297mm, 105×148mm

〈to the moon and back〉은 실패의 경험으로서 퀴어성을 담은 솔로 TRPG(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 진이다. 당신은 달에 있는 소중한 이에게 러브레터를 보내고자 하지만 정부의 검열로 인해 온전한 마음을 전달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사랑하는 마음이 남아있는 동안은 계속해서 편지를 보내야만 한다. 설령 모든 단어가 검열되더라도, 글자 수 제한으로 모든 이야기를 담지 못하더라도, 영원히 답을 받지 못하더라도.

전시에 추가로 전시되는 〈to the moon and back – 발신 오류 에디션 (failed prototype edition)〉은 해당 게임이 만들어지기까지 거친 아이디어와 구현 및 제작 실패의 과정을 담은 에세이 진이다.

[7] 지정 구역 외 금연 금지

비디오게임, Godot Engine, 가변크기

〈지정 구역 외 금연 금지 (never stop smoking until we get home)〉은 『양질의 (픽셔널) 바이올런스』 수록 시 「굿보이」를 기반으로 한 인터랙티브 픽션이다. 주인공 ‘나’는 ‘데이비드’로 인해 영원히 벗어날 수 없는 루프에 갇혀 있다.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하루 종일 데이비드의 징징거림을 들으며 담배를 피우는 것밖에 없다. 그는 언제나 이곳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딱히 갈 곳이 있는 건 아니다.

[8] angels come and go

사진 연작, 가변 크기, 디지털 인쇄

〈angels come and go〉는 『양질의 (픽셔널) 바이올런스』에 수록된 시 「생쥐들의 천사」를 기반으로 한 사진 연작이다. 한 인터넷 밈 이미지에서 시작한 아이디어는 폭력에 관한 카타르시스와 낭만화에 관한 알레고리로 이어진다.

[9] 철새들의 집

웹 아트, HTML, CSS, JavaScript, 가변크기

〈철새들의 집 (The House of Migratory Birds)〉는 『양질의 (픽셔널) 바이올런스』에 수록된 시 〈철새들의 집 vol.2〉의 전체적인 맥락을 담은 웹 아트이자 인터랙티브 픽션이다. 관람자는 사라진 친구 “버디 (Birdie)”의 데스크탑을 살피며 고향에서 경험하는 디아스포라를 탐구한다.

[10] 사람을 찾습니다: 밀려난, 살아있는.

웹 아트, HTML, CSS, 가변크기

〈사람을 찾습니다: 밀려난, 살아있는. (Wanted: The Pushed, Alive.)〉는 작가 석의 첫 웹 아트 작품으로, 논바이너리, 에이섹슈얼, 외국인 노동자 당사자들의 언어와 행동적 특성에 관해 인터뷰하고 이를 구현한다. 더 나아가 임의의 규칙으로 파편화된 내러티브를 따라감으로써 밀려난 사람들의 경험, 즉 방랑자의 자유를 표방한다.

[1] high-quality (fictional) violence

poetry collection zine, 115x190mm

“high-quality (fictional) violence” is an experimental poetry zine where queer autobiographical experience is recomposed through the logic of fiction. It features characters who choose to "exist without justification." Includes ten pieces.

[2] buzzcut season

[3] i’m your man

poetry, scanned zine, pdf file

[4] pump up the wreck, kid!

experimental film, 1440x1080px, 6' 14"

"pump up the wreck, kid!" is an experimental film set in a fictional world view in the poems "buzzcut season" and "i'm your man" from "high-quality (fictional) violence." kid, the main character of "buzzcut season," reappears and follows the story with another main character from "the society." In this world, which is divided into "the society" and "the underground," the protagonist and kid dream of hierarchical chaos through interaction.

[5] out of context: pump up the wreck, kid!

interactive fiction, Twine, various size

As the title implies, "out of context: pump up the crack, kid!" is an interactive fiction that contains an external sequence that deviates from the overall narrative flow. In this game, kid crosses identity, wanders through memory, and reflects on their true dream of revenge.

[6] to the moon and back – failed prototype edition

solo TRPG zine, printed, 210×297mm, 105×148mm

"to the moon and back" is a solo TRPG (tabletop role-playing game) zine that protraies queer experience of failure. You want to send a love letter to your beloved on the moon, but government censorship has made it difficult to convey your true feelings. Nevertheless, you have to keep sending them as long as your loved ones are left. Even if all the words are censored, if you don't get the full story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letters, or if you don't get an answer forever.

"to the moon and back – failed prototype edition", additionally displayed in the exhibition, is an essay about the process of ideas and implementation and production failures that have gone through until the game was created.

[7] never stop smoking (until we get home)

video game, Godot Engine, various size

"never stop smoking until we get home" is an interactive fiction based on "Good Boy" from "high-quality (fictional) violence." The main character, "I," is stuck in a loop with "David", and can't escape. All "I" can do is to smoke while listening to David's whine all day long. "I" always want to get out of here, but there's not a specific place to be.

[8] angels come and go

photography series, digital printed, variable size

"angels come and go" is a series of photographs based on the poem "angel of the mice" from "high-quality (fictional) violence." The idea, which started with an internet meme image, leads to an allegory about catharsis and romanticization about violence.

[9] The House of Migratory Birds

web art, HTML, CSS, JavaScript, various size

"The House of Migratory Birds" is an interactive fiction that contains the entire context of the poem "The House of Migratory Birds vol. 2" from "high-quality (fictional) violence." Viewers explore the diaspora they experience in their hometown by looking at the desktop of their missing friend, "Birdie."

[10] Wanted: The Pushed, Alive.

web art, HTML, CSS, various size

"Wanted: The Pushed, Alive." is a web art, interviewing and embodying the languag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non-binary, asexual, and foreign workers. It advocates the experience of those who are pushed out, or the freedom of wanderers, by following the narrative that is fragmented by arbitrary rules.